-
근 미래_30년정도-50년 예측(2019.02.07작성)생각하는 갈대/경제_경영 2019. 2. 7. 00:13
지정학
세계경제 판세는 그대로, 미국 1위 중국 2위 그외..
사실 3위부터는 1,2위와 격차가 심하다.향후 30-50년은
1) 인공지능의 발전 및 산업/사회 도입
2) 의학의 발전 - 장/노년층의 증가 가 눈에 띄는 사회의 변화 일 것.기업에서 인공지능을 쓰는 것이 일반화되고 얼마나 뛰어난 인공지능을 쓰는 지가 실력의 관건이 됨,
의학(생명공학)의 발전, 50-60세 이상 장/노년층이 인구의 대다수가 된다.
-------------------------- -------------------------- --------------------------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컨텐츠 미디어 관점으로 보자면 ,
지금의 30대가 50대가 되었을 떄(20년 뒤)를 주목해봐야한다(20년 뒤) - 이들은 인터넷, PC 게임이 익숙한 세대이다.
즉, 현재 TV조선 같은 종편에서 노년층 타겟으로
건강/우익 프로그램만 편성하는 것과는 다른 종류의 컨텐츠 수요층 일것.
굳이 말하자면, 훨씬 젊은 감각의 장년/노년층들이 생길 것.
---------------------------------------
조선일보, 온라인 커뮤니티가 매출액이나 기업규모에 비해서
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주목해봐야한다.
미디어는 메시지고, 메시지는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끼친다.
---------------------------------------------
아직 기술적으로 큰 변화는 오지 않았다. 우리가 '정말 달라졌구나' 하고 느꼈을 때는 20~30년뒤일것.
아직은 아날로그한 방송사 같은 게 주요미디어지만, 20-30년뒤에는 아닐 수 있어.
넷플릭스 영화가 칸영화제 황금사자상을 타게될 때부터를 주목해봐야한다.
'생각하는 갈대 > 경제_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에서 성공하기위한 변수 (0) 2024.02.04 관리자의 역할 (0) 2024.02.02 공공재 "민영화" 주장에서 서비스의 질(quality) 향상 논리는 거짓이다. (0) 2018.08.27 터키 환율 폭락과 물가 상황 (2018. 8.23) (0) 2018.08.25 부의 창출, 교환 (경제학을 모르는 상태에서 써보기) (0) 2018.08.05 댓글